brackets 에서 원격저장소(github.com)와 연동하는 방법에 대한 초간단 설명~~ brackets 에서 git 사용하는 방법은 http://wizardee.tistory.com/194 요기 참고! 일단, github(http://github.com) 에 새로운 저장소를 만든다. 물론 계정이 없다면 지금 가입하세요~ 080-1588…. -.-a;; test1이라는 새 저장소를 만들면 화면처럼 우측에 보면 해당 저장소의 URL이 있는데, 이 정보를 이용해서 brackets에서 github와 연동을 하면 된다. brackets에서 새로운 원격저장소를 등록한다. 정상적으로 생성이 되었다면, 화면처럼 등록한 원격저장소가 보이고 옆에 화살표가 있는 2개의 아이콘이 있는데, 각각 Pull과 Push 기능의..
svn만 충실히 사용하던 나, 주위에서 하도 git git 하길래 한번 쓰윽 봄~ 아래 링크에 있는 글만 봐도 아주(!) 쉽게 이해할 수 있음~ http://rogerdudler.github.io/git-guide/index.ko.html 백문이 불여일타~! 잠시 생긴 잉여시간(!)을 이용하여 git 이란 놈 한번 설치하고 사용해 보고자 함~! 이클립스에 있는 git 설정은 뭐 별로 하는 거 없이 쉽게(?) 되어 버려서리.. 최근에 웹앱 개발하면서 알게 된 brackets(http://brackets.io)에 git extension을 이용하여 한번 설치/간단하게 사용해 보고자 한다. 우선, brackets extension manager 에서 git이란 걸 검색해 보니 젤 상단에 나옴(아무래도 요놈이겠..
- Total
- Today
- Yesterday
- 무제
- 캠핑
- 주저리
- db
- 스마트tv
- 이클립스
- 개화예술공원
- http
- network
- json
- myBatis
- 중도
- 주저리주저리
- 단상
- MySQL
- spring
- 스프링
- java
- JavaScript
- 자바
- SVN
- 톰캣
- 발번역
- socket
- 개발
- 안드로이드
- netty
- 중도캠핑장
- QR코드
- 오토캠핑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